반응형

서재_시방서 39

조적철물

조적철물 관련 시방서 내용 표준시방서에는 관련 용어에 대한 정의, 재료에 대한 규정은 있으나, 모양 및 규격에 관한 내용은 없네요... KCS 41 34 01 : 2021 조적공사 일반 (국가건설기준 표준시방서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1. 일반사항 1.3 용어의 정의 ● 보강철물: 정착철물과 벽돌쌓기벽을 콘크리트 구체에 연결하여 면 외의 전도를 방지하고, 철물과 벽돌의 하중을 구체에 분담시키기 위해 벽돌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철물 등의 총칭 ● 정착 철물: 벽돌벽을 콘크리트 구체에 정착시키는 보강철물 (표 2.2-1 자재의 품질기준표 연결철물 : KCS 41 34 02(2.8) 및 KCS 41 34 05(3.4)에 따른다. LH시방에는 보강상세 제출, 앵커철물..

서재_시방서 2022.03.21

"가설흙막이 공사" 해체

KCS 21 30 00 : 2020 가설흙막이 공사 3.13 해체 및 철거 3.13.1 공통사항 (1) 해체 및 철거는 사전에 수립된 해체순서를 준수하며, 구조체 전체의 안정을 무너뜨리지 않는 방법으로 하며, 시공하기에 앞서 시공순서, 방법, 사용기계, 공정 등에 대하여 책임감리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해체 및 철거는 지반침하와 본 공사에 지장이 없고 주변의 구조물 및 설비시설 등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흙막이 구조물의 철거는 본체 구조물의 콘크리트 강도가 소정의 강도에 도달한 이후에 시행하여야 한다. (4) 해체 및 철거 전후에는 계측을 통하여 변위발생 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5) 철거 시에는 단계별로 안전한 해체높이를 정하여 1단계 되메우기 후, 그라운드 앵커, 버..

서재_시방서 2021.08.26

시방서- 주요공사 시공확인 시점

시험, 실험, 검사, 교정주요공사 시공확인 시점 특정 공사시 검측을 언제하는지는 착공초기에 감리와 협의 하여 정해야 하는데,용어가 너무 많다. 통상적으로 ITP라고 하는데,ITP는 품질시험과 관련하여 "품질관리계획서" 상에 시험 및 검사 계획서일 수도 있고,내가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검측시점 일 수도 있다. LH공사에서는 "시공확인"이라고 하고, 통상적으로 "검측"이라고 부르는 행위도 I.T.P라고 한다.말그대로 "검사 및 시험 계획"이고, 주요공사의 시공확인을 하는 시점을 계획하는 것.I.T.P주요공사 시공확인 시점(LH공사)I.T.P (Inspection and Test Plan)검사·시험계획건축검측계획서시험 및 검사 계획서아래는 LH공사 건축공사 "주요공사 시공확인 시점" 입니다.먹매김 시점을..

서재_시방서 2021.04.04

건축공사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어디있지?

내가 이블로그에 쓴 많은 단어 중 건축공사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라는 단어를 많이 쓴것 같다. 근데, 헉 사라졌다. 그것도 2016년도에 .... 헉... 오래 됐네.... ㅡ.ㅡㅋ 생각해보면 기존 제도가 문제가 많긴 많았다. 이거 찾고, 또 저것 찾고...왜 이렇게 해야 하는지 조차도 잊을 만큰 오랜 시간 그렇게 길들여 진듯. > □ 그간 건설기준은 도로, 철도, 건축 등 분야별로 총 51종의 책자 형태로 기준을 제시 ㅇ 이에 따라 기준 간 중복되는 내용이 상당히 많았고, 같은 공종에 대해 분야별 적용 수치가 다른 경우 ㅇ 또한, 분야별로 별도 기준이 있다 보니 사용자가 여러 기준을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 https://www.kcsc.re.kr/StandardCode/Viewer/805/%EA%..

서재_시방서 2020.08.11

지내력시험 기준

얼마전에 파일공사 시험기준을 알아봤다. 그렇다면 지내력시험은 어떻게 할까? 명확하게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라고 적혀 있으면 좋을 텐데, 찾기가 여간 힘든게 아니다. 내가 찾아 낸 사실을 정리해 본다. 일단, 네이버에 지내력시험 횟수기준을 검색을 해봤다. 요약을 하면 관련 시방에 따르라고 한다. 그걸 몰라서 그러는게 아닌데, 시방서에 몇번을 하라는 기준이 없어서 검색을 했더니, 이런답이 나오다니... 그래서 "건축공사 표준시방서"를 찾아 봤다. 시험을 하라는 내용 자체가 없다. 결국은 지내력시험 기준을 찾기 위해 또, "LH전문시방서"를 뒤져 봤다. 헉.... 필요시 지지력시험을 하고, 부족하면 감독과 상의 하란다. 그래서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국토해양부)"까지 뒤지게 되었다. 제4장 얕은기초 4...

서재_시방서 2019.12.19

LH시방서- 변퇴색 시험

변퇴색 시험이라는 말을 처음 들은 것은 LH현장에서 였다. 당시 우수관설치를 준비하는 공사 막바지 였는데,해당 시험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찾아 봤다.말이 익숙하지가 않고 이런 시험이 있는지도 몰랐는 상황이기 때문에 어색했고, 어떤걸 말하는 지도 몰랐다.변퇴색시험은 변색과 퇴색이 이루어 지는지 알아 보는 시험이다. 우수관(선홈통)의 경우 세대 발코니에 설치되어 햇빛을 계속해서 쬐게 됨으로 색깔이 변하는 자재를 쓰면 안된다는게 요지 이다.우선 LH공사 전문시방서에 시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다.변퇴색시험은 500시간 동안 물을 뿌리면서 빛에 노출해서 변색 또는 퇴색이 있는지를 확인 하는 시험이라고 하고,시간이 오래걸린다는 것은 명확한듯. 현장시험이 아니라, 외부의뢰 시험이니, 품질시험기관에 자세한 내용은 ..

서재_시방서 2019.04.07

균열관리대장

초록이에게 '균열관리대장'을 검색했다. 이미지가 잔뜩 나오는데, 그다지 효용성이 적은 것 같아서, 내가 작성해 보았다. [균열 관리 대장] 콘크리트(시멘트) 또는 건물(구조물)의 균열을 관리 하기 위해 기록 하는 문서 서식 일단 LH공사 시방서 상의 균열 보수, 균열 관리에 관한 내용은 아래 글 참조 ----------->[LH 전문시방서] 균열보수, 균열관리 관찰(조사) 주기 균열관리대장을 작성하는데, 관찰 주기와 회수는 최초관찰 후 2개월 간격으로 2회 이상 관찰(총 3회 이상) - 최초 발견1회 + 추가 관찰 2회 이상 = 총 3회 이상이 됨 ※ 보수 처리 시점 1) 균열 진행이 종료될 경우, 보수 진행 2) 후속공정 등의 영향으로 균열 보수가 필요한 경우 총 3차 조사를 하고 '담당자' 혹은 '담..

서재_시방서 2019.03.21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표면의 마무리

콘크리트 표면의 마무리 중 쇠흙손 마감(제물 시야기)에 관한 내용이 있어 메모해 본다.종종 시야기 하는데, 양생 중 재진동, 탭핑(Tapping) 등 현장 시공 중에 가능한지, 불가능 한지에대한논쟁이 발생 하기도 하는데,규정이 있니, 없니 얘기가 예전에 있은 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몰랐는데, 우연히 시방서를 보다가 발견.ps. 참고글  ----->제물치장, 재물치장 뭐가 맞을까?요약을 하면,제물치장 마무리(쇠흙손 마감, 제물시야기)시 가능한 범위에서 늦은 시기에 쇠손으로 강하게 힘을 주어 윗면을마무리 하여야 한다.마무리 작업 후 콘크리트 굳기 시작 할때에 일어나는 균열은 다짐, 재마무리 하여야 하며, 재 진동 가능.

서재_시방서 2017.11.08

LH 전문시방서- 균열보수, 균열관리 관찰(조사) 주기

콘크리트는 균열이 피할 수 없는 것이라는 것은 건축시공 뿐 아니라, 구조 등 관련 기술자라면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그러하기 때문에 균열을 관리하고, "균열관리대장"을 작성하여야 한다는 것도 상식적인 이야기다.근데, 균열관리 방법에 대해서 아무리 찾아 봐도 알 수가 없었다.해당 양식은 인터넷을 뒤지면, 쉽사리 찾을 수가 있는데도 말이다.그래서, 나의 삽질이 다시 시작 됐다.결국, 콘크리트표준시방서,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서는 근거를 찾지 못했다.혹시, 해당 문서에서 근거를 찾으신 분은 댓글 달아 주셔요.. *^^* 내가 찾은 것은 "LH전문시방서(2012)" 이다.요약을 하면, 균열관리대장을 작성하는데, 관찰 주기와 회수는 최초관찰 후 2개월 간격으로 2회 이상 관찰(총 3회 이상)     - 최초 발견1..

서재_시방서 2017.10.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