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거실_건축 이야기 77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2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1 층+부재부호+부재번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2 층 부호 의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3 벽체 부호 예시 및 부호 의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4 기초 부호 예시 및 부호 의미 계속 해서 일단 이해 하기 쉽게 그림으로 그렸다. 3D 캐드를 할 줄몰라 투시도로 대충 그려봤다. 실제 도면이랑은 다르게 RS2, RG3 뭐 이런 식으로 그렸다. 실제로 도면은 지붕 구조 평면도 상에 S2, G3 식으로 표현 된다. -1 S 1 그러니까, 이 경우는 지하1층 바닥에 있는 슬라브로, 첫번째로 이름 붙여진 부재를 말한다. 맨 먼저 해당 하는 부위의 위치가 나온다. (층이랑 관련이 없는 부재의 경우는 이부분이 생략되기도 한다.) 그리곤, 부재의 종류가..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1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1 층+부재부호+부재번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2 층 부호 의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3 벽체 부호 예시 및 부호 의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4 기초 부호 예시 및 부호 의미 구조도면을 보라고 막내에게 줬다. 그리고 1시간 후...... "도면 보다 궁금 한게 있으면 물어봐..." "네, -1G1 이 뭔가요?" ㅡ.ㅡㅋ 속으로 생각했다... 까막눈이군.... 무엇을 가르친다... ㅡ.ㅡㅋ 구조도면은 참으로 단순하다. 건축도면이나, 다른 도면에 비해서 일단, 선이 적다. 단지, 약간의 약속들이 있는데, 그걸 이해 하지 못하니... 그런거 일거라 생각을 하면서......... 하여간, 정리 해보자... 구조 도면에 사용되는 부호는 (혹자..

내화성능기준(내화설계/내화구조)

내화성능 기준 시공기술사에 종종 나오길래, 원본이 어딘지 찾은 김에 정리해둔다. 건축법 시행령 [시행 2015.9.22.] [대통령령 제26542호, 2015.9.22., 일부개정] 제2조(정의) 이 영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7. "내화구조(耐火構造)"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를 말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시행 2015.10.7.] [국토교통부령 제238호, 2015.10.7., 일부개정] 제3조(내화구조) 영 제2조제7호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벽의 경우에는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것 가. 철근콘크리트조 또..

풍하중 & 노풍도

구조계산, 그러니까 예를 들면 창호, 비계, 시스템 서포트 같이 시공과 같이 진행해야하는 구조계산시, 해당지역의 설계를 위해 풍하중, 또는 기본풍속과 노풍도를 가르쳐 달라는 문의를 종종 듣게 된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지역별로, 기본풍속 및 노풍도가 설계기준으로 정해져 있는데, "건축구조기준"에 정리되어 있어서, 해당지역을 검색해서 기본풍속을 읽고, 지표면 상태에 따라서 노풍도를 읽어 주면 된다. 참고로, 구조계산서(건축)에 앞쪽에 정리되어 있으니, 그걸 읽어 주는게 젤편하다. 구조계산서에 어떻게 정리 되어있는지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친절이 정해해 주는 구조 계산서가 있는 반면, ■설계하중 □풍하중 *기본 풍속 : 30m/sec *지표면조도 : B *중요도계수 : 1 이것처럼 MIDAS프로그..

먹매김 vs. 먹메김

이거 참.. 별것 아니다. 근데, 항상 헷갈리고, 나도 자주 틀린다. 먹매김이 맞는지? 먹메김이 맞을까? 하여간, 정답부터 얘기 하면 "먹매김"이 맞다. 먹매김 [ marking] ① 이음, 맞춤의 가공, 부재의 부착을 위해 그 형상, 치수, 위치 등의 선을 부재 표면에 표시하는 것. ② 벽, 바닥, 기둥등에 심의 위치, 마감면의 위치 등을 표시하는 것. 동의어 먹줄치기, 금긋기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먹매김 [marking] (토목용어사전, 1997. 2. 1., 도서출판 탐구원) 헌데, 네이버군과 다음씨에게 검색을 해보면, 둘다 혼재 되게 막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여간, 몰라서 못 사용했더라도, 알고는 틀리지 말자. 참고로 "오야먹"은 "기준먹"으로 순화해서 쓰는게 맞다.

경량 철골 천장(틀)

아파트 공사에서 경량 철골 천장을 해본 경우도 있고, 안해본 경우도 있다. 관련 시방이 없어서 고민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대체 뭐가 맞는지..... LH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는 경량철골 천장틀로 천장을 하니, 해당하는 시방은 참고 하면 될듯. 난, 여기서 일단 LH공사의 시방서 내용중 재료에 대한 부분과 잘하면 된다는 일반적인 내용은 빼고, 기술자라면 알아야 할 치수? DETAIL? 그 부분만 언급 하려 한다. 여기서 잠깐.. TIP. 천장 vs. 천정 천장 (天障) : [명사] 1. 같은 말 : 보꾹1(지붕의 안쪽). 2. 반자의 겉면. 천정2 (天井) : [명사]1.‘천장(2. 반자의 겉면)’(天障)의 잘못. 2.[북한어]‘천장2(2. 반자의 겉면)’의 북한어. 하여간, 아래의 시방서를 요약 ..

데시벨-A(dBA), 데시벨-B(dBB)

예전에 쓴 글중에 공사장 소음 진동 관련 규정 라는 내용이 있다. 자세히 보면 생활소음 규제 기준 중에서 측정 단위가 "dB(A)"라고 되어있다. 그리고, 소음 측정기 내가 쓰는 소음 측정기에도 dBA / dBB를 선택하게 되어있는데, 잘못 선택하면 다른 값이 측정되니, 주의 해야 한다. 하여간, 데시벨-A, 데시벨-B 가 뭔지 궁금 해졌다. 그래서 정보의 바다를 뒤졌다. A-가중 데시벨 A-weighted decibels, dBA, dBa, dB(a)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의 크기를 주파수에 대한 가중치 필터를 적용하여 상대적 단위(dB)로 나타낸 값. 가중치 필터로는 A형, B형, C형이 있으며 각각, dBA(A-가중 데시벨), dBB(B-가중 데시벨), dBC(C-가중 데시벨)라고 표기한다...

건설기술자 등급 배점

건설기술자의 범위(영 제4조 관련) [별표1] 개정2014.05.23 건설기술자의 역량지수 1. 자격지수 40점 이내 2. 학력지수 20점 이내 3. 경력지수 40점 이내 4. 교육지수 3점 이내 건설기술자의 등급 산정 및 경력 인정방법 등 구분 기술 등급 설계ㆍ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자 품질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자 건설사업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자 특급 역량지수 75점 이상 역량지수 75점 이상 역량지수 80점 이상 고급 역량지수 75점 미만 ~65점 이상 역량지수 75점 미만 ~65점 이상 역량지수 80점 미만 ~70점 이상 중급 역량지수 65점 미만 ~55점 이상 역량지수 65점 미만 ~55점 이상 역량지수 70점 미만 ~60점 이상 초급 역량지수 55점 미만 ~35점 이상 역량..

레미콘 현장 시험 기준

레미콘 현장시험 기준 콘크리트 시험 빈도 오늘은 레미콘의 현장시험에 대해서.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 1.8.2 받아들이기 검사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검사는 현장 콘크리트 품질기술자가 실시하여야 하며, ...... KSF 4009:2016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mixed concrete) 5.2 슬럼프 5.3 슬럼프 플로, 5.4 공기량, 5.5 염화물 함유량 8.4 운반시간 등 시방서와 동일10.2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 횟수콘크리트의 강도 시험 횟수는 450m3을 1로트로 하여 150m3당 1회의 비율로 한다.다만, 인수/인도 당사자간 의 협정에 따라 검사 로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 보통콘크리트 25 - 24 - 150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구분 굵은 골재의..

레미콘 주문(규격)

오늘은 레미콘에 대해서. 원래 정확한 이름은 READY-MIXED CONCRETE 제조 되어서 주문자에게 운반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다. 레미콘하면 먼저 주문을 하게 되는데, 보통콘크리트 25 - 24 - 150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구분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에 따른 구분 단위:mm 호칭강도 단위 : MPa 슬럼프 또는 슬럼프 플로 단위:mm 이렇게 된다. 보통 레미콘/콘크리트 하면, 말그대로 보통 콘크리트다 보니, 생략하고. 25-24-15 주세요. 한다.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20, 25, 40 이렇게 3종류만 KS 다. 호칭강도는 예전에는 세자리, 즉 백단위로 끊어서 표시했는데, 단위가 MPa로 바뀌면서 부터는 이것도 두자리로 얘기한다. 슬럼프는 재미있게도, KS에서는 단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