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사 철근 가공 및 조립의 Type 2025 건설공사 표준품셈 中건축공사 철근 가공 및 조립의 Type구 분유 형Type- Ⅰ>직경 13mm이하 철근이 전 철근중량의 50%미만인 경우Type- Ⅱ>직경 13mm이하 철근이 전 철근중량의 50%이상인 경우 또는 철골과 병행 시공되는 경우>직경 13mm이하 철근이 50% 미만이나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한 구조시설물(하수종말처리장, 폐기물처리장 등) 서재_시방서 2025.03.30
일반철근, 내진철근, 용접철근 비교 KS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철근의 종류 및 기호 표시(예: SD300: 표시 없음, SD400: 4, SD500: 5, SD600: 6, SD700: 7, SD400 S: 4S, SD500 S: 5S, SD600 S: 6S, SD700S:7S, SD400 W: 4W, SD500 W: 5W)를 표기특수내진용 철근은 S, 용접용 철근은 W를 사용SDWSSteel Deformed barWeldableSeismic 내진용 철근, 용접용 철근의 차이는 인장강도의 차기계적 성질 서재_시방서 2025.01.12
말뚝기초 시험빈도 조정 및 양방향 재하 시험 신설 말뚝기초의 설계와 시공시 하중에 대한 안정성과 성능을 더욱 정밀하게 검증하기 위해 양방향 재하 시험(상부 하중만 가하는 것이 아니라, 말뚝 내부에 설치된 하중 셀을 사용해 위쪽과 아래쪽으로 동시에 하중을 가하는 방식)을 신설정/동재하 시험의 빈도를 전체 말뚝 수량의 1% 이상 시험으로 명문화 서재_시방서 2024.12.15
레미콘 시험 빈도 변경 레미콘 현장시험 기준콘크리트 시험 빈도오늘은 레미콘의 현장시험에 대해서.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1.8.2 받아들이기 검사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검사는 현장 콘크리트 품질기술자가 실시하여야 하며, ...... 보통콘크리트25-24-150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구분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에 따른 구분 단위:mm 호칭강도 단위 : MPa 슬럼프 또는 슬럼프 플로 단위:mm 이런 레미콘을 쓴다고 하면 현장에서 시험을 하게 된다. 현장 시험에는 강도, 슬럼프, 염화물량, 공기량 시험을 하게 되는데, 강도는 아직 굳지 않아서 공시체를 제작 해서 나중에 시험 하게 되니, 빼고. 현장에서 바로 하는 시험에 대해서 얘기 할랜다. 우선 주문 할때 말했던 슬럼프.여기서는 150, 열다섯이다. .. 서재_시방서 2024.12.08
시방서-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의 정의가 된 기준을 찾기가 어려움.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가이드라인 [해설] ②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은 동결융해 반복 작용에 노출되거나, 탄산화, 황산염, 염화물 등에 따른 열화를 고려해야 하는 구조물로서, ‘KCS 14 20 10 일반콘크리트’의 ‘1.9.2 노출범주 및 등급’ 에 따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에 대해 노출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발주처와의 협의에 따라 결정한다. (국토교통부/한국건설기술연구원) p.10 서재_시방서 2023.11.26
콘크리트 압송용 몰탈 레미콘 압송용 몰탈의 경우, “미리 압송하는 모르타르나 압송 중 막힘현상 등으로 품질이 저하된 콘크리트는 폐기하도록 한다”라고 규정. 모르타르의 강도가 구조체의 강도 이상인 경우 기준 없음. 서재_시방서 2023.10.08
슈미트 헤머를 이용한 압축강도 추정 반발경도 시험 압축강도 추정 장기 재령 콘크리트 강도 추정은 일본건축학회 매뉴얼에 따른 추정식 사용 고강도 콘크리트의 반발경도에 의한 추정은 과학기술부 추정 제안식 사용 서재_시방서 2023.09.10
철근의 기계적 이음 4.5 철근의 이음 4.5.1 이음 일반 (1)철근은 설계도 또는 시방서에서 요구하거나 허용한 경우 또는 책임구조기술자가 승인하는 경우에만 이음을 할 수 있으며, 이음은 가능한 한 최대 인장응력점부터 떨어진 곳에 두어야 한다. (3) 용접이음과 기계적이음은 다음 강도 규정에 따라야 한다. ① 용접이음은 용접용 철근을 사용해야 하며,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의 125% 이상을 발휘할 수 있는 용접이어야 한다. ② 기계적이음은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의 125% 이상을 발휘할 수 있는 기계적이음이어야 한다. ③ 상기 ① 또는 ②의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용접이음이나 기계적이음은 4.5.2(5)를 만족하여야 하며, D16 이하의 철근에만 허용된다. 4.5.2 인장 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이음 (4)이음부에.. 서재_시방서 2023.05.07
MC/모듈정합 건축도면에서 "MC선도", "MC선", "MC"와 같은 용어가 자주 등장 하는데, 이 페이지는 그에 관한 내용 [MC] MC Modular Coordination 건축구성재의 치수관계를 모듈에 따라 조정하는 것 효 과 건축물의 표준화, 생산성 향상, 치수체계상의 정합성 확보, 일정한 공간확보, 규격 자재의 활요, 호환성의 확보 [사용 기호] [모듈의 종류] 모 듈 모듈의 정합을 위한 치수의 단위 기준 기본모듈 모듈정합에서 기본이 되는 단위로서 "1M"으로 표시. 1M=100mm 증대모듈 기본모듈의 정수배가 되는 모듈. 3M, 6M, 9M, 12M, 15M, 30M, 60M 보조모듈 증분치 기본모듈을 정수로 나눈 모듈. 기본모률 보다 작은 증분치수를 필요할 때 사용 M/2, M/4, M/5 서재_시방서 2023.01.29
시방서- 비계의 벽이음 비계의 벽이음 관련 시방서와 법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종 류벽 이음 기준시스템 비계제조사가 정한 기준에 따라 설치강관 비계수직방향 5m 이하, 수평방향 5m 이하강관틀 비계수직방향 6m, 수평방향 8m 이내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시행 2015. 12. 31.] [고용노동부령 제144호, 2015. 12. 31., 일부개정]제60조(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5미터 이상 1.8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서재_시방서 2023.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