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파트 구조 일람표상의 보중에 보높이가 정해지지 않고, 건축치수(H)라고 표시한 보의 경우
X Bar : HD10@150 (H 900 초과시 적용) 이라고 적힌 걸 보게 된다.
ㅡ.ㅡㅋ 이게 뭐지?
표피철근(Skin Reinforcement, Surface Reinforcement)
목적 : 보높이(Depth)가 큰 보는 작은 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쪽 측면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를 억제 하기 위해 인장역 수직면 가가이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배근
건축 구조기준2016(KBC2016) |
제5장 콘크리트구조 0501.5 용어의 정의 표피철근:전체 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 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 |
0506.3.3 보 및 1방향 슬래브의 휨철근 배치 (6) 보나 장선의 깊이 h 가 900 mm를 초과하면 종방향 표피철근을 인장연단으로부터 h/2 지점까지 부재 양쪽 측면을 따라 균일하 게 배치하여야한다. 이때 표피철근의 간격 s는 0506.3.3(4)에 따라 결정하며, 여기서, Cc는 표피철근의 표면에서 부재 측면까지 의 최단거리이다. 개개의 철근이나 철망의 응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변형률 적합조건에 따라 해석을 하는 경우 이러한 철근은 강 도계산에 포함될 수 있다. |
반응형
'거실_건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합유리(Laminated Glass)의 종류 및 부호 (0) | 2021.06.13 |
---|---|
배강도 유리의 종류 및 부호 (0) | 2021.06.06 |
분리타설시 이어치기부 전단보강 (0) | 2021.04.21 |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4 (0) | 2021.01.24 |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3 (0) | 2021.01.04 |
TPS / EPS / MDF (0) | 2020.06.09 |
TCR / RQD (0) | 2020.05.19 |
E/V 완성 검사 전 확인해야 할 사항 (0) | 2020.05.18 |
E/V 공사 전 완료 되어야 할 사항 (1) | 2020.05.15 |
E/V의 종류 (1)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