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_건축 이야기

Level 사용법 #1

다식군! 2014. 11. 15. 15:53
반응형

 

LEVEL, 그러니까 간단한 레벨 사용법이다.

뭐 내가 많이 아는 건 아니지만,

간단히 원리를 설명하자면.

 

아래 그림에서 왼쪽 바닥 지표면의 Level을 알때 오른쪽 지표면의

레벨을 구하는 간단한 문제를 가지고

설명을 하려고 한다.

 

먼저, 조건은 레벨기는 수평을 본다는게 기본 조건이다.

쉽게 말해서 레벨기를 수평하게 맞추는 거다.

레벨기를 본사람은 알겠지만, 세개의 수포를 이용해서

맞추는 절차가 있는데, 그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하여간, 난 지금 원리를 간단히 설명 하는 거라

그 얘기는 일단 생략 하겠다.

 

먼저, 레벨을 구하기 위해서는

레벨을 알고 있는 점이 필요하다.

B.M(Bench Mark) : 수준점.

이라고 한다.

 

또는

T.B.M(Temporary Bench Mark) : 임시 수준점

이라고 해서 B.M에서 따온 임시 수준점.

뭐 이런게 있어야 한다.

 

만약 이런걸 모른다면, 상대적인 LEVEL 차이 정도는 구할 수 있겠지만,

정확한 레벨은 구할 수 없다.

 

뒤                                                                              앞

 

하여간, 원리는 간단하다.

1. GL +40.0 인지점(편의상 "A지점" 이라고 하자.  그리고 우리가 궁금한 오른쪽 지점은 B지점 이라고 하자.) 

    (GL +40.0 이라는 말은 해수면으로 부터 정확하게 40.0M 위의 높이라는 얘기다.)

    에 스타프를 수직으로 세운다.    <------------- 스타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Level 사용법 #3(스타프) 클릭.

 

2. 그리곤, 레벨기를 이용해서 A지점을 본다.

   여기서, 우리가 궁금한 곳은 A지점이 아니라, 오른쪽에 있는 B지점이라는 걸 잊지 말자.

   궁금한 B지점을 쳐다 보는게 앞이다.

   그래서 레벨기를 이용해 A지점을 보는 걸 B.S(Back Sight) : 후시

   라고 한다. 말그대로 뒤를 보는 거다.

 

3. B.S를 봤다면, 40.0에 B.S를 더한다.

   그러면 레벨기의 높이가 나온다.

   이걸, I.H(Instrument Heignt) : 기계고

   (B.M 또는 T.B.M + B.S = I.H)

  라고 한다.

 

4. I.H(기계고)를 구했다면,

   정말 우리가 원하는 앞을 본다.

   이걸, F.S(Fore Signt) : 전시

   라고 한다.

 

5. 그러면, B지점의 레벨을 알수가 있다.

    즉, A지점 Level + B.S - F.S를 한 값이 B지점의 레벨값이 된다.  

 

설마 이해가 안되는가?

그러면 그림을 한번 봐라.

당연히 더하기 빼기 만 하면 높이가 나올 수 밖에 없다.

단지 전시, 후시, 기계고 같은 생소한 단어가 있어서 했갈릴 뿐이다.

 

다음편 Level 사용법 #2에서 좀더 자세히 알아 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