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거실_건축 이야기 102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4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1 층+부재부호+부재번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2 층 부호 의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3 벽체 부호 예시 및 부호 의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4 기초 부호 예시 및 부호 의미 기초 부호 예시 및 부호 기초는 학교에서 배웠듯이, 독립기초, 매트기초, 줄기초, 파일기초가 있고, 각각의 부호는 아래 표와 같이 표시. 구 분 부 호 설 명 독립기초 F1, F1A, F2 독립기초 부재의 이름을 의미 매트기초 MF1, MF2, MF2A 매트기초 부재의 이름을 의미 줄기초 WF1, WF2, WF2A 줄기초 부재의 이름을 의미 파일기초 PF1, PF1A, PF2 파일기초 부재의 이름을 의미 (독립기초와 배근은 동일)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3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1 층+부재부호+부재번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2 층 부호 의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3 벽체 부호 예시 및 부호 의미 구조도면 부호(기호) 관련 정리 #4 기초 부호 예시 및 부호 의미 [벽체 부호 개요] ※"대한건축협회 "BIM 설계도서 작성지침 -건축,구조부문-" 참고 하여 작성 (1) 벽체 부호는 벽체 부제의 이름을 의미함. (2) 벽체 부호는 일반적으로 "W"로 표현 함 ex) W1, W2, W3, ...... (3) 설계자가 임의로 지정해서 사용 할 수 있음 ex) WW, HW1, EW1, SW1, ...... 부 호 부호 의미(예시) W 일반벽체, 내력벽 SW 계단 벽체 CW 코어 벽체 EW 엘리베이터 벽체 HW 수평 벽체 RW 벽체..

건축 구조 도면- 표피철근(X-Bar)

아파트 구조 일람표상의 보중에 보높이가 정해지지 않고, 건축치수(H)라고 표시한 보의 경우X Bar : HD10@150 (H 900 초과시 적용) 이라고 적힌 걸 보게 된다.ㅡ.ㅡㅋ 이게 뭐지?표피철근(Skin Reinforcement, Surface Reinforcement)목적 : 보높이(Depth)가 큰 보는 작은 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쪽 측면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를 억제 하기 위해 인장역 수직면 가가이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배근건축 구조기준2016(KBC2016)제5장 콘크리트구조0501.5 용어의 정의표피철근:전체 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 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0506.3.3 보 및 1방향 슬래브의 휨철근 배치(6) 보나 장선의 깊이 h 가 9..

TPS / EPS / MDF

TPS / EPS / MDF EPS [전기] Electrical Piping Shaft Electric Pipe Shaft 전기 공사의 동력용전선, 전등용전선, 전열용전선 등의 전선이 이동하는 수직통로(Shaft) ㄴ TPS [통신] Telecommunication Pipe Shaft 통신용 케이블, BAS(자동제어용 케이블), HAS(홈오토메이션 케이블) 등 통신 관련된 전선이 이동하는 수직통로(Shaft) (과학기술정보통신부)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 [시행 2017. 8. 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2017-7호, 2017. 8. 24., 타법개정] 제20조(통신배관실) ① 통신배관실은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통신배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②통..

TCR / RQD

TCR(Total Core Recovery) : 암반의 구성에 따라 시추한 암석의 길이에 대한 회수된 코어길이를 백분율로 표시. RQD(Rock Quality Designation) : 시추코어 중 100mm이상 되는 코어 길이의 합을 시추 길이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 (암질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 RQD(Rock Quality Designation, 암질 지수) 10cm 이상 코어의 길이의 합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 장점 신속하고 적은 비용 소요 단점 절리의 방향성, 밀착성, 충전물 고려 못함 코어의 직경이 50mm(NX) 이상이어야 함. RQD(%)

E/V 완성 검사 전 확인해야 할 사항

지난번에는 엘리베이터 착공전에 확인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봤고, 이번에는 완성검사를 하기전 확인해야 할 사항 들이다. 확인 구 분 내 용 비고 □ 1. 기계실 조명 및 바닥 마감 - 기계실 바닥에서 200lux 이상 - 기계실 바닥의 덕트까지 몰탈 공사 □ 2. 기계실 환기 장치 설치 - 기계실 내 환기휀 또는 갤러리창 설치 □ 3. 기계실 출입문 설치 - 700x1800 이상의 출입구 방화문 설치 - 외부 노출형 출입문의 경우 케노피 설치 □ 4. 승강장 조명 설치 - 전출입구 위 조명 설치 □ 5. 점자블럭 및 휄체어 공간 - 장애인 엘리베이터에 해당(대부분) - 호출 버튼 전면 점자 블럭 설치 - 장애인 용의 경우 전 출입구 앞 1.5x1.5M이상의 회전 공간 필요 □ 6. 출입구 마감 - 충입구 ..

E/V 공사 전 완료 되어야 할 사항

엘리베이터 공사가 들어 오기전까지 건축에서 선행 되어야 할 사항들 정리 반복되는 일이지만, 항상 있는 일이 아님으로, 채크리스트로 관리 하여야 할 듯. 확인 구 분 주요 확인 사항 비 고 □ 1. HOOK 설치 - 기계실 천장 양중 후크 설치 - 천장 마감재 설치시 후크 노출 확인 - 천장 마감재 시공시 불연재료 또는 내화 구조 확인 □ 2. 전원공급 - 3상 4선 380V 전원공급(접지 포함) □ 3. 양중물 반입구 - 타워크레인 양중시 기계실 장비 반입을 위한 창문 크기 확인 - 크레인 / 타워크레인 양중시 외부 비계 해체 w1.4 □ 4. 기계실 바닥공사 - 기계실 바닥 슬리브 확인 □ 5. 출입구 안전난간대 확인 - 엘리베이터 각 층별 개구부 안전난간 설치 확인 - 승강로 주위 우수 및 물 유입 ..

E/V의 종류

엘리베이터의 종류 구분 정리 용 도 - 속 도 - 출입문 형식 P : 일반용 R : 주택용 B : 침대용 E : 비상용 - 저 속 중 속 고 속 초고속 - CO : 양개형 S : 편개형 U : 상하개폐 구 분 속 도 비 고 저 속 0.75 m/sec 이하 45 m/min 이하 중 속 1~4 m/sec 60~240 m/min 고 속 4~6 m/sec 240~360 m/min 초 고 속 6m/sec 이상 360 m/min 이상 ※ 출처 한국 승강기 안전공단 홈페이지 www.koelsa.or.kr 로프식 유압식 1. 교류엘리베이터 교류일단 속도제어 방식 교류이단 속도제어 방식 교류귀환 전압제어 방식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제어 방식(일반적) 2. 직류엘리베이터 워드레오나드 방식 정지레오나드 방식 1. 유압유량 제어..

파일공사- 시멘트 밀크(시멘트 페이스트) 배합비별 시멘트 소요량

전의 글 "파일공사- 준비하기" 에서 시멘트 표준 배합비에 대해서 얘기 했다.근데, 궁금한게 생겼다. LH공사 전문시방서 中 "23023 기성 말뚝기초(매입공법)" 시방서에서 규정은 물시멘트비(물결합재비 W/B) 83%,83%의 표준배합비는 1m3당 시멘트 880kg, 물 730L의 비율이라면,59%와 83% 중 어느게 시멘트가 많이 들어갈까?각각의 배합비별 시멘트 소요량은 얼마일까?내가 시멘트를 늘리고, 줄이면, 그건 몇%의 배합비일까?시멘트를 300톤 사용했는데, 과연 그럼 몇 루베를 사용한 걸까?등등의 궁금증이 생겼다. 그래서 일일이 계산해 보기로 했다.아래의 표는 1루베(1m3)에 들어가는 각 배합비별 시멘트와 물의 량을 엑셀로 계산해서 만든 표다.ps. 물시멘트비(W/C)는 표준시방서 개정으로 ..

파일공사- 준비하기

공사를 시작 할때 가설공사를 가장 먼저 준비하지요.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게 가설공사라고 생각하지만,오늘 다루려는 주제는 파일공사, 그러니까, 본공사의 가장 먼저 하는 공사.기초의 하부 구조, 지정공사 뭐 이런 얘기 빼고 파일공사 준비에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한다.파일공사 할때 필요한 준비물은 준   비  물비         고파일설마, 파일 없이 파일공사를 할까?  그러니, 패스항타기설마, 항타기 없이?                     그러니, 또 패스시멘트시멘트와 시멘트를 담기위한 사일로에 대해서 주로  여기서는 얘기하려 한다.물심정(지하수), 상수도는 준비가 당연히 되어 있겠죠?전기파일공사는 보통 항타기와 같이 발전기를 가져와 사용. 패스그래서, 여기서는 시멘트에 대해서 주로 얘기 하려고 한다.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