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거실_건축 이야기 102

경량 철골 천장(틀)

아파트 공사에서 경량 철골 천장을 해본 경우도 있고, 안해본 경우도 있다. 관련 시방이 없어서 고민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대체 뭐가 맞는지..... LH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는 경량철골 천장틀로 천장을 하니, 해당하는 시방은 참고 하면 될듯. 난, 여기서 일단 LH공사의 시방서 내용중 재료에 대한 부분과 잘하면 된다는 일반적인 내용은 빼고, 기술자라면 알아야 할 치수? DETAIL? 그 부분만 언급 하려 한다. 여기서 잠깐.. TIP. 천장 vs. 천정 천장 (天障) : [명사] 1. 같은 말 : 보꾹1(지붕의 안쪽). 2. 반자의 겉면. 천정2 (天井) : [명사]1.‘천장(2. 반자의 겉면)’(天障)의 잘못. 2.[북한어]‘천장2(2. 반자의 겉면)’의 북한어. 하여간, 아래의 시방서를 요약 ..

데시벨-A(dBA), 데시벨-B(dBB)

예전에 쓴 글중에 공사장 소음 진동 관련 규정 라는 내용이 있다. 자세히 보면 생활소음 규제 기준 중에서 측정 단위가 "dB(A)"라고 되어있다. 그리고, 소음 측정기 내가 쓰는 소음 측정기에도 dBA / dBB를 선택하게 되어있는데, 잘못 선택하면 다른 값이 측정되니, 주의 해야 한다. 하여간, 데시벨-A, 데시벨-B 가 뭔지 궁금 해졌다. 그래서 정보의 바다를 뒤졌다. A-가중 데시벨 A-weighted decibels, dBA, dBa, dB(a)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의 크기를 주파수에 대한 가중치 필터를 적용하여 상대적 단위(dB)로 나타낸 값. 가중치 필터로는 A형, B형, C형이 있으며 각각, dBA(A-가중 데시벨), dBB(B-가중 데시벨), dBC(C-가중 데시벨)라고 표기한다...

건설기술자 등급 배점

건설기술자의 범위(영 제4조 관련) [별표1] 개정2014.05.23 건설기술자의 역량지수 1. 자격지수 40점 이내 2. 학력지수 20점 이내 3. 경력지수 40점 이내 4. 교육지수 3점 이내 건설기술자의 등급 산정 및 경력 인정방법 등 구분 기술 등급 설계ㆍ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자 품질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자 건설사업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자 특급 역량지수 75점 이상 역량지수 75점 이상 역량지수 80점 이상 고급 역량지수 75점 미만 ~65점 이상 역량지수 75점 미만 ~65점 이상 역량지수 80점 미만 ~70점 이상 중급 역량지수 65점 미만 ~55점 이상 역량지수 65점 미만 ~55점 이상 역량지수 70점 미만 ~60점 이상 초급 역량지수 55점 미만 ~35점 이상 역량..

레미콘 현장 시험 기준

레미콘 현장시험 기준 콘크리트 시험 빈도 오늘은 레미콘의 현장시험에 대해서.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 1.8.2 받아들이기 검사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검사는 현장 콘크리트 품질기술자가 실시하여야 하며, ...... KSF 4009:2016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mixed concrete) 5.2 슬럼프 5.3 슬럼프 플로, 5.4 공기량, 5.5 염화물 함유량 8.4 운반시간 등 시방서와 동일10.2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 횟수콘크리트의 강도 시험 횟수는 450m3을 1로트로 하여 150m3당 1회의 비율로 한다.다만, 인수/인도 당사자간 의 협정에 따라 검사 로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 보통콘크리트 25 - 24 - 150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구분 굵은 골재의..

레미콘 주문(규격)

오늘은 레미콘에 대해서. 원래 정확한 이름은 READY-MIXED CONCRETE 제조 되어서 주문자에게 운반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다. 레미콘하면 먼저 주문을 하게 되는데, 보통콘크리트 25 - 24 - 150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구분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에 따른 구분 단위:mm 호칭강도 단위 : MPa 슬럼프 또는 슬럼프 플로 단위:mm 이렇게 된다. 보통 레미콘/콘크리트 하면, 말그대로 보통 콘크리트다 보니, 생략하고. 25-24-15 주세요. 한다.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20, 25, 40 이렇게 3종류만 KS 다. 호칭강도는 예전에는 세자리, 즉 백단위로 끊어서 표시했는데, 단위가 MPa로 바뀌면서 부터는 이것도 두자리로 얘기한다. 슬럼프는 재미있게도, KS에서는 단위..

철근 간격재(Spacer, 스페이서, 스페이셔, 스페어서,스패샤)

"SPACER"를 검색했다. 관련 시방을 정리하려고 구글에 검색을 했는데, "도너츠형 스페이셔는 간격재로 철근의 피복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라고 제조업체에 홈페이지에 적혀있었다. 근데, 제조사 별로 부르는 이름이 정말 많다. 어찌된 건지 부르는 사람/회사 마다 다르다. 영어로는 SPACER, 스패샤, 스페샤, 스페이셔, 스페이서, 등등. 왠만하면 난 그래서 신입사원한테 영어로 쓰라고 한다. 도대체 뭐가 뭔지 모르겠다. 시방서 철근 고임재(barsupport) 및 간격재(spacer) "간격재"라는 우리말을 쓰는게 좋을 듯.... 참고로 외래어표기법 기준으로 "스페이서"가 맞는 표현..... TIP.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번호 규정 한글표기 원어표기 1 외래어표기법 스페이서 spacer 근데..

콘크리트 운반 시간

콘크리트 운반에도 시간이 정해져 있다. 콘크리트 비빔 시작 부터 타설 종료시 까지 이것도 이어 붓기와 동일 하게 25도 기준 25도 미만의 경우 120분 25도 이상의 경우 90분 ps. 콘크리트 이어 붓기 시간과 헷갈릴 수 있다. 그 내용은 이전글 콘크리트 이어 부어 넣기 시간참고 하셔요.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2013)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2009)

소화기

소화의 원리 -연소의 반대개념 -연소의 3요소의 연쇄반응 방지 -물리적 소화와 화학적 소화로 나눔 -물리적소화(냉각소화, 질식소화, 제거소화) -화학적 소화(억제소화) 소화기의 종류를 구분하는 법은 많지만, 그 중 화재의 유형에 따른 분류법 A형(보통화재용) B형(유류화재용) C형(전기화재용) D형(금속화재) NFPA 화재분류 (NFPA 10) 가. A급화재 : 나무, 헝겊, 종이, 고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일반적인 가 연 물질에서 발생하는 화재 나. B급화재 : 인화성액체, 가연성액체, 유지(油脂), 타르, 유성도료, 솔벤 트,래커, 알코올, 가연성가스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 다. C급화재 : 통전중인 전기기기와 관련된 화재 라. D급화재 : 마그네슘, 티타늄, 지르코늄, 나트륨, 리튬, 칼륨 등과 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