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기사 김과장 454

감리란?

건설공사에서 감리가 뭔지 아세요? 감리는 시공을 하는데 있어서, 전반적인 기술지도를 하는 업무 입니다.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 2014.8.7.] [법률 제11998호, 2013.8.6., 타법개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5. "감리"란 건설공사가 관계 법령이나 기준, 설계도서 또는 그 밖의 관계 서류 등에 따라 적정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 관리하거나 시공관리·품질관리·안전관리 등에 대한 기술지도를 하는 건설사업관리 업무를 말한다.

건설공사 시험실 규모 및 기술자 배치기준(1)

★ 시험실 규모 관련 시행령 변경 --->현행 기준 보려면 건설공사 시험실 규모 및 기술자 배치기준(2)참고 이하 이전글--------------------------------------------------------------------------------------------------- 공사 착공 초기에 가설사무실을 짓거나, 임대를 할때, 시험실 규모에 대한, 참고 자료. 게다가 법명이 바뀌어서 더 헷갈리는 듯. ps. 2014년 5월 23일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 진흥법』 으로 법명이 바꼈다. 건설공사 품질관리를 위한 시설 및 건설기술자 배치기준(제50조제4항 관련) 대상공사 구분 공사규모 시험ㆍ검사장비 시험실 규모 건설기술자 특급 품질관리 대상공사 총공사비가 1,000억원 이상 또..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거푸집 동바리 존치기간]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상의 거푸집 해체 시기, 그러니까, 동바리 해체 시기이다. 아파트와 같이 다층 건물일 경우 표05015.3에 적힌 내용이 실제 적용 되는 내용이고, 요약하면 수직부재의 옆면(기초 옆면, 벽체 거푸집, 보 옆면 거푸집) 의 경우 5Mpa 그러니까 타설한 다음날 해체 하면 되고, 슬라브, 보와 같이 휨을 받는 부재의 경우 휠라를 사용 할 경우 14MPa 이상인지 확인 후 해체 하라는 얘기다. (보통 휠라 서포트라고 하는데, 필러 동바리가 표준 용어인가 보다.)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2013 국토해양부 05015 거푸집 및 동바리 공사 3. 시 공 3.4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3.4.1 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 가. 거푸집 및 동바리는 콘크리트가 자중 및 시공..

서재_시방서 2014.10.22

시방서 철근 결속 기준

각시방서별 철근 결속 기준이다. 먼저,『건축공사 표준시방서 2013』의 경우 결속의 본연의 목적. 철근 위치 확보에 대한 명기만 있을 뿐, 결속 간격이나, 기준에 대한 명기는 없고, 바른 위치에 철근이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만 명시. 『LH 전문시방서 2012』의 경우 모든 교차점에 결속을 하여야 한다고 명시. 단, 슬래브 및 벽체의 경우 철근간격이 300mm 이내 일경우 하나 걸러 결속 허용.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2013 국토해양부 05000 콘크리트공사 05020 철근공사 3. 시 공 3.3 철근 및 용접철망의 조립 3.3.1 철근의 조립 가. 철근은 바른 위치에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충분히 견고하게 조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조립용 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

서재_시방서 2014.10.20

건축 시공 허용 오차

건축공사 할때 시공오차가 얼마인지, 어디에 있는지 헷갈릴 때가 많아서 정리해 본다. [위임관계] 건축법 제26조(허용오차) → 건축법 시행령 제20조(허용 오차) → 건축법 시행령 별표5 건축허용 오차 건축법 시행규칙 [시행 2014.10.15.] [국토교통부령 제129호, 2014.10.15., 일부개정] [별표5] 건축허용오차(제20조관련) 1. 대지관련 건축기준의 허용오차 항목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 건축선의 후퇴거리 3퍼센트 이내 인접대지 경계선과의 거리 3퍼센트 이내 인접건축물과의 거리 3퍼센트 이내 건폐율 0.5퍼센트 이내(건축면적 5제곱미터를 초과할 수 없다) 용적률 1퍼센트 이내(연면적 30제곱미터를 초과할 수 없다) 2. 건축물관련 건축기준의 허용오차 항목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 건축물 높이..

무주택 판정 기준

59M2이하의 공공주택 분양을 받으려고 하면, 무주택이어야 하는데, 무주택의 기준은 관련법에 의해 정해 지는 거였다. 20M2이하 거나, 무허가 건물이 아니면, 다 유주택이군.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시행 2014.6.30.] [국토교통부령 제105호, 2014.6.30., 일부개정] 제6조(세대주인정기간의 산정 및 주택소유 여부 판정기준) ① 세대주인정기간은 세대별 주민등록표상에 세대주로 등재되어 있는 기간에 따라 산정한다. 다만, 세대별 주민등록표상에 세대주로 등재되어 있지 않은 기간이라도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전후하여 세대주로 등재되어 있는 기간을 합산하여 세대주인정기간을 산정한다. 1. 세대별 주민등록표상에 주민등록말소등으로 세대주로 등재되지 아니한 기간이 있는 경우에는 그 ..

미장공사시 시멘트 모래 소요량(배합별)

1:2몰탈, 1:3몰탈의 시멘트, 모래량은? 참 별거 아닌것 같은데, 뭔지 모를때가 있다. 표준품셈에 나와 있는데, 표준품셈에 있다는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 . . 하여간, 1:1몰탈은 시멘트 1,093kg 모래 0.78M3 소요 1:2몰탈은 시멘트 680kg 모래 0.98M3 소요 1:3몰탈은 시멘트 510kg 모래 1.1 M3 소요 1:4몰탈은 시멘트 385kg 모래 1.1 M3 소요 1:5몰탈은 시멘트 320kg 모래 1.15M3 소요 된다. 재료의 할증률은 포함 되어 있다. 하여간, 단위수량을 알고 있으니, 1:3몰탈로 면적이 100M2이고, 바름 두께가18mm미장이라면, 시멘트 : 100M2 × 0.018M × 510Kg ÷ 40kg(포) = 22.95포 모 래 : 100M2 ×..

주방_물량산출 2014.10.19

아이디어오디션

아이디어오디션이라는 사이트를 알게 되었다. 좋은 아이디어가 있을때, 특허를 내고 새롭게 물건을 만들고, 판매하고, 기타등등 하고 싶을때 기존의 방법은 변리사를 통해서 특허를 등록하고, 물건을 만들 공장을 알아보고, 판로를 개척하고, ..... 개인이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시간도 돈도, 하지만 여기 아이디어 오디션은 아이디어를 등록하면, 전문가 집단과 같이 상업화 하고, 그에 따른 수익을 배분하는 방법이다. 아이디어가 있다면 한번 도전 해보는 기회를 갖고 싶다. http://ideaaudition.com/

상표 류구분

내 상표를 하나 정도는 갖고 싶어서 상표에 대해서 알아 보고 있는 중이다. 상표를 등록 하기 위해서는 "류"라는 것을 선택 해야 하는데, 도대체 류가 뭔지 몰라서 찾아 봤다. 류는 상품 및 업종 별로 류가 분류 되어 있는데, 나는 업종에 관한 류의 종류만 정리 해 봤다. 서비스업의 류 구분은 35류 부터 시작 해서 45류 까지 총 11가지의 류로 구분 되어 있네요. 내가 만든 상표를 아무도 못쓰게 하려면 상표 하나를 총 11개 류에 모두 등록 해야 하는 거군요. 상품 및 서비스업의 명칭과 류구분에 관한 고시 [시행 2014.1.15.] [특허청고시 제2013-29호, 2013.12.31., 일부개정] 특허청(상표심사정책과), 042-481-5299 [별표 2] 서비스업의 명칭과 류구분 류 국문명칭 35 ..

미장 레미탈 소요량 계산

레미탈/건조 시멘트 모르타르 미장 레미탈 소요량 계산 조적 레미탈 소요량 레미탈은 시멘트랑 모래를 별도로 배합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에 효과적이고, 공장생산에 따른 품질의 균일화가 가능하고, 현장이 깨끗해 지는 등 많은 장점이 있는데, 미장을 할때 과연 레미탈은 얼마 들어 갈까? 한일레미탈 홈페이지에 가면 1M3을 시공하는데, 1,750Kg, 즉 43.75포가 소요 된다고 되어 있다. 그러니까, 1포로 18mm 미장을 한다면, 40/(1750*0.018) = 1.269841M2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또한 1000M2를 미장으로 바르고, 18mm미장이라면, 1000M2 × 0.018mm × 1750kg ÷ 40kg(1포 기준) = 787.5포가 소요 된다. --------------> 시..

주방_물량산출 2014.10.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