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기사 김과장 454

건폐율, 용적률

건폐율은 건폐율 용적율이 아니라, 용적률 건폐율 = (건축면적 / 대지면적) × 100% 용적률 = (건축물의 지상층 연면적 / 대지면적) × 100% ps. 연면적은 건축법 시행령 면적 등의 산정방법 참고 건축법 [시행 2015.1.6.] [법률 제12968호, 2015.1.6., 일부개정] 제6장 지역 및 지구의 건축물 제55조(건축물의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에는 이들 건축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이하 "건폐율"이라 한다)의 최대한도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77조에 따른 건폐율의 기준에 따른다. 다만, 이 법에서 기준을 완화하거나 강화하여 적용하도록 규정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 2015.1...

Mortar, 모르타르, 몰탈 에 대해서

Mortar, 모르타르, 몰탈 에 대해서 모르타르(몰탈) 배합 및 비비기(LH) 몰탈, 모르타르 라고도 하고,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표준품셈 상에는 '모르타르'라고 보통 우리는 '몰탈'이라 해서 찾아 봤다. mortar 미국식 [|mɔ:rtə(r)] 1. 모르타르 2. 박격포 3. 막자사발, 유발 일단 지식군의 답은 '모르타르'가 맞았다. 박격포가 있어서, 구글번역을 돌리면 종종 미장공이 박격포를 발랐다는 이상한 번역이 나오기도 한다. ㅡ.ㅡㅋ 그래서 '몰탈'을 찾아 봤다. 몰탈 (mortar) [명사] [북한어] '모르타르(회나 시멘트에 모래를 섞고 물로 갠 것)'의 북한어. 헐.... ㅡ.ㅡㅋ 몰탈은 북한 말이랜다. 앞으로는 '모르타르'라고 쓰는 걸로...... 모르타르에서 1:2, 1:3..

서재_시방서 2015.02.15

교통정리가 없는 교차로에서의 양보운전

도로교통법 [시행 2015.1.29.] [법률 제12917호, 2014.12.30., 일부개정] 경찰청(교통기획과), 02-3150-0598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도로에서 일어나는 교통상의 모든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26조(교통정리가 없는 교차로에서의 양보운전) ①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들어가려고 하는 차의 운전자는 이미 교차로에 들어가 있는 다른 차가 있을 때에는 그 차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②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들어가려고 하는 차의 운전자는 그 차가 통행하고 있는 도로의 폭보다 교차하는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서행하여야 하며, 폭이 넓은 도로로부터 교차로에 들어가려고 하는 다른 차..

NFSC

National Fire Safety Codes 화재안전기준 NFSC 행정규칙명 소관부서 제개정 행정 규칙 종류 발령번호 발령일자 NFSC 10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국민안전처 일부개정 고시 제2015-21호 2015.01.23. NFSC 102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국민안전처 일부개정 고시 제2015-22호 2015.01.23. NFSC 103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국민안전처 일부개정 고시 제2015-23호 2015.01.23. NFSC 103A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국민안전처 일부개정 고시 제2015-24호 2015.01.23. NFSC 103B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

대피공간 관련 법들

요즘 아파트 들은 대부분 확장이 필수인지라, 대피공간이 필수이다. 공사를 할때마다 헷갈려서 정리해 본다. 요약을 하면 대피공간의 출입문은 갑종방화문이며, 거실쪽에서만 열 수 있는 구조이며, 대피공간을 향해 열려야한다.(대피공간 방향으로 대피해야 하니,) 대피공간의 창은 열었을때, 폭 0.7미터, 높이 1.0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대피공간에는 비상용 손전등 등을 비치 해야 한다는 거다. 발코니 등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기준 [국토해양부 고시 제 2012-745호 ; 2012. 11. 5] 제1조(목적) 이 기준은 건축법 시행령 제2조제14호 및 제46조제4항제4호의 규정에 따라 주택의 발코니 및 대피공간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대피공간의 구조) ① 건축법 시행령 제46조..

우편함(우편 수취함) 규격

우정사업본부에서 정하고 있는 우편함 규격 25cm ⅹ16cm ⅹ 32cm로 규정 우정사업본부 고시(정보통신부 고시는 폐지됨) LH 토지주택공사에는 설치 높이 기준이 있음. 최상단 우편함의 높이가 1.7M 이내로 바닥에서 420mm 이상 띄어서 설치 표준상세도 DA-77-005 우편함 설치도(1) / DA-77-006 우편함 설치도(2) 우정사업본부 고시 제2007-39호 우편법시행규칙 제132조에 의거 우편수취함 등의 크기, 구조, 재질, 외부표시에 관한 사항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07. 12. 31. 우정사업본부장 1. 우편수취함 규격 형 별 몸 체 우 편 물 투 함 구 가 로 세 로 깊 이 가 로 세 로 몸체바닥에서 투함구 밑선까지 고층건물 A형 25㎝이상 16㎝이상 32㎝이상 23㎝이상 4..

"건축법" 상 대지의 범위

「건축법」상 대지의 범위 1. 건축법 제2조제1항제1호 “대지”라 함은 「지적법」에 의하여 각 필지로 구획된 토지를 말한다. 다만, 대통령이 정하는 토지에 대하여는 2이상의 필지를 하나의 대지로 하거나 1이상의 필지의 일부를 하나의 대지로 할 수 있다. 2. 건축법시행령 제3조 가. 제1항 “2이상의 필지를 하나의 대지로 할 수 있는 토지” (1) 하나의 건축물을 2필지이상에 걸쳐 건축하는 경우에는 그 건축물이 건축되는 각 필지의 토지를 합한 토지 (2) 「지적법」제20조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합병이 불가능한 경우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그 합병이 불가능한 필지의 토지를 합한 토지. 다만, 토지의 소유자가 서로 다르거나 소유권외의 권리관계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IKEA(이케아)에 다녀 왔습니다

이케아를 다녀 오기로 마음 먹고 출발한게 12월 21일 일요일 오픈한지 얼마 안된 첫 주말이라 깔끔하게 출발 했죠. 평소 이케아가 궁금해 하던차에 가벼운 마음으로 출발 ... 이건 방문기념 기념품. 둘러보고 맘에 드는 물건을 적는 용도인데 이뻐서 아무것도 안적고 그냥 갖고 왔음. 이케아 광명점에 도착을 한건 오전11시. 좌회전 신호만 받고 주차장안으로만 들어가면 되는데 30분째 대기 중. 와이프차는 벌써 배고프다고 주유불이 들어왔고 와이프랑 아들래미 한테서는 징징 경보음이 울린지 오래다. 하여간 겨우 내부진입. 주차장에 주차를 하기위해 두바퀴 정도 돌고 겨우 주차미션 클리어. 그리곤 내부 진입 미션을 위해 줄서기 미션 시작. 드디어 내부 진입 코앞. 벌써 와이프와 애기는 다운 됐다. 바로 2층 식당 진입..

외출 2014.12.22

좌표간 각도 구하기

앞에서 얘기한 좌표간 거리 구하기 에서 좀더 나가보자. 좌표란건 원래 점이 라서 두점을 알면 거리를 알 수 있고, 세점을 알고 있으면, 거리와 각도를 알 수 있어서 삼각형을 그릴 수 있다는 당연한 상식을 가지고, 거기다 약간의 액셀을 가미 하는거다. 뭐 간단히 앞에서 말한 거리구하는 방법으로 거리를 간단히 구하고, 좀더 복잡하게 각도를 구해보자. 일단 cos C = (a^2 + b^2 -c^2) / 2ab 이니까, "C"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역함수 ACOS 을 구하면 된다. ㅡ.ㅡㅋ =ACOS((K33^2+K39^2-B38^2)/(2*K33*K39))*180/PI() 그러니까 위의 함수가 되는데, 일단 복잡하니, 그냥 베껴서 쓰자.

좌표간 거리 구하기

좌표간 거리 구하기다. 이게 캐드로 그냥 거리를 찍으면 되는건데, 꼭 계산을 해야 할때가 있다. 귀찮아도 한번 만들어 놓으면 언젠가는 쓸일이 꼭 있다. 예를 들면 토목 도면에 "현황 측량도" 뭐 이런거에 좌표가 죽~ 적혀있는데 건축도면 이랑 구조도면과 스케일이 달라 어떤 점인지 모를때 그러니까, 처음 좌표를 찾을 때 요긴하다.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라는 중학교 수학책을 뒤져서 계산하면된다. 뭐 이런식이다. a2+b2 = c2 그러니깐, 직각이등변 삼각형에서 짧은변의 길이의 제곱 해서 더하면, 긴변길이랑 같다는 거다. 그 걸 가지고 아래와 같이 계산 하면 된다. 위의 그림에서 보다 시피, X좌표의 차를 짧은 변으로 해서 제곱 하고, Y좌표의 차를 또 짧은 변으로 해서 제곱 해서 더한다...

반응형